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영화감독숌
- 이분탐색
- AWS EC2
- HTTP #모든개발자를위한HTTP
- EC2
- ssh config
- 백준
- 코딩테스트
- 자바 #버퍼 #자바입출력 #BufferedReader #BufferedWrite
- 알고리즘
- Spring #Springboot #스프링 #김영한 #springmvc
- 파이썬
- 이진탐색
- EC2 쉽게 연결하기
- Today
- Total
목록HTTP (2)
우주개발

HTTP 모든 것이 HTTP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API)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함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를 사용한다 " 우리에게 중요한 건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해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함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P/3 현재는 HTTP/1.1을 주로 사용 HTTP/2, HTTP/3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HTTP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 (stateless), 비연결성 HTTP 메세지로 통신한다 단순하고 확장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Request,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함 서버가..

클라이언트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 “Hello World”가 클라이언트와 서버에는 IP주소가 부여되어 있다. 출발지 IP와 목적지 IP를 패킷에 감싸서 인터넷 노드에서 뒤적이면서 요청이 전송된다. IP (인터넷 프로토콜) 지정한 IP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클라이언트 패킷에 담긴 정보 출발지 IP 목적지 IP 보낼 데이터 서버 패킷에 담긴 정보 출발지 IP 목적지 IP Status Code → 200 : OK IP 프로토콜의 한계점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고 서비스가 망가져있어도 패킷을 전송함 도착지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모른다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패킷의 순서대로 안올 수 있다. 프로그램 구분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